작성자 정보
댓글
6

🐰
크게 떠오르는 방법은 4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다만 맥북 실 사용을 해본 적이 없기에 다른 분들 의견도 들어서 결정해보세요.
1. (인텔맥북인 경우에만 해당) bootcamp로 windows 별도로 설치
2. 맥북 위에 도커 컨테이너를 올려서 작업공간으로 이용
3. i386/amd64 CPU를 사용하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서버를 만들고 연결
4. 49갤북 (갤럭시북2 a58a)과 같이 가성비 윈도우 노트북 구매 후 별도 사용
비용(돈)이 비싸도 바로 할 수 있는 방법 > 4
비용(돈)은 아끼지만 조금 사용 방법을 알아야 하는 방법 > 1, 2, 3
2 1 3 4 순 추천

🐰
어쳐피 이후 실습환경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웹 문제인 경우 도커 컨테이너를 이용합니다.
이번 기회에 방법을 알아두는 것도 좋을 듯 싶기도 하네요.

mini-chip
도커의 경우에는 타 VM과 다르게 호스트와 커널을 공유하는 것으로 알고 있어서 mac에서 linux 도커가 매끄럽게 굴러가지는 않을 듯 싶습니다. m칩 맥북에서는 아직까지는 완전하게 리눅스 환경을 구축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도커보다는 VM 가상머신을 사용해보시고, 데탑을 보유하고 계신다면 mac에서 원격 데스크탑으로 윈도우 & linux 환경을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