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코스에서는 현대 암호의 암호 기술들과 현대 암호학이 목표하는 기능이 무엇인지 배웁니다. 코스를 배우고 나면 다음 개념들을 익힐 수 있습니다.
키워드
• 확산(Diffusion)
• 대칭키 암호 시스템(Symmetric Cryptosystem)
• 블록 암호(Block Cipher)
• 스트림 암호(Stream Cipher)
• 공개키 암호 시스템(Public-Key Cryptosystem)
• 현대 암호의 기능
Description
Objectives
현대 암호의 다양한 기술들과 이들이 제공하는 기능을 안다.
Questions related to this course.
5 questions
대칭키 암호 시스템 질문
드림핵 암호학 강의를 보고 있는데
대칭키 암호 시스템은 사전에 키를 교환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는데
이 교환 방법이 어떤 식으로 교환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키를 교환할 때에 가로챌 수 있는 공격 기법도 있나요?
[약간 xss 느낌]
퀴즈 1 질문
비제네르 암호에서 'blue' 가 암호화했을 때 단일 치환 암호처럼 같은 암호문이 되는데, 이는 혼돈 성질을 만족하지 않는 것 아닌가요? 정답에는 확산이라고 되어 있어 질문드립니다.
공개키 암호 시스템의 키 개수와 대칭키 암호 시스템의 키 개수가 헷갈립니다
대칭키 암호 시스템의 키 개수는 n/2 = n(n-1)/2 송신, 수신의 키가 같으므로 이해가 갑니다.
공개키 암호 시스템의 키는 송신할 때와 수신할 때가 다릅니다. 공식은 2n이라고 나와 있는데, 암호화 할 때 공개키는 공개되어 있어서 공개키만 포함시키는 건가요?
비밀키는 포함을 안 시키는 건지 궁금합니다!
스트림암호 설명 중간 부분이 이해가 안갑니다.
만약 송신자와 수신자가 평문 길이 만큼의 스트림을 매번 공유할 수 있다면, 스트림을 모르는 공격자는 암호문을 복호화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평문과 같은 길이의 스트림을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다면, 스트림을 공유하는 채널로 평문을 공유하면 되므로 암호화가 필요하지 않은 환경임을 의미합니다. 이게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갑니다. 그러면 원래는 스트림을 보내는 공간이 작기 때문에 스트림을 평문 길이만큼 공유하기 힘들다는 뜻인가요?
질문이요!
공개키와 비밀키가 서로 다른데 어떻게 같은 평문으로 복호화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잘 이해를 못하겠네요.
공개키로 암호화를 했으면 키 내용이 같은, 공개키로 복호화가 가능해야 할거같은데.... 왜 서로 다른 키가 잘 작동하는지 이해를 도와주세요 ㅜ
Roadmap with this course

Recommend for you
Related courses

현대 암호

Free
Detail
30 minutes read
Very Easy
없음